와각지쟁 - 달팽이 뿔 위에서 다투다
사소한 일로 싸우다.
위나라 혜왕과 제나라 위왕이
서로 침략하지 않기로 굳게 약속했다.
그런데 위왕이 약속을 어기자
화난 혜왕은 자객을 보내 그를 죽이려 했다.
그때, 신하 공손연은 자객을 보내는 일은
부끄러운 짓이니 당당하게 군사를 일으켜
제나라를 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또 다른 신하 계자는
전쟁이 일어나면
백성들이 큰 고통을 겪으니
안 된다고 박대했다.
이 문제로 조정이 시끄러워지자
재상 혜자가 현인으로 이름 높은
대진인을 혜왕에게 소개했다.
대진인이 왕에게 물었다.
“왕께서는 달팽이를 아십니까?
그 달팽이 왼쪽 뿔에 있는 나라를 ‘촉씨’라고 하고
오른쪽 뿔에 있는 나라를 ‘만씨’라고 합니다.
그들이 가끔 땅을 다투어
죽는 이가 수만이나 되고
달아나는 적을 보름 동안이나
추격한 뒤에 돌아온다고 합니다.”
왕이 대답했다.
“허! 그런 거짓말이 어디 있소?”
“오직 왕을 위해 이를 사실에 빗대어 보겠습니다.
왕께서는 저 넓은 우주에 끝에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왕이 대답했다.
“그야 끝이 없지요”
“그렇다면 저 끝없는 우주에서 노닐던 사람이
자기가 살고 있는 나라에 돌아와 보면 어떨까요?
너무 작고 보잘것없어서
있는 듯 없는 듯하지 않겠습니까?”
“당연히 그렇겠지요.”
“그 나라 가운데 위나라가 있고
위나라 가운데 양이라는 도성이 있고
그 도성 가운데 왕이 계시니,
촉씨나 만씨와 무엇이 다르겠습니까?”
이는 크고 넓은 우주와 세계에서
위나라나 제나라는 달팽이 뿔보다도
작은 존재임을 암시한 말이다.
혜왕은 쓴웃음을 지으며 대답했다.
“다르지 않겠지요.”
대진인이 나가자 맥이 빠진 혜왕은
혼자 멍하니 앉아 있었다.
혜자가 들어가자 왕이 탄식하며 말했다.
“그는 실로 큰 인물이로다.
성인이라도 그에 미치지 못하리라.”
이 이야기는 <장자>의 <칙양>편에 나온다.
와각지쟁은 여기에서 비롯했다.
‘와우각상쟁’이라고도 하는데,
‘세상일은 달팽이 뿔 위에서 싸우듯
보잘것없는 다툼’이라는 말이다.
친구들이나 주변 사람들과 싸운 적이 있다면
와각지쟁은 아닌지 되돌아볼 일이다.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곤일척 – 하늘과 땅에 운명을 맡기고 겨루는 커다란 승부 (0) | 2020.09.24 |
---|---|
지록위마 –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하다 (0) | 2020.09.23 |
수주대토 – 나무 그루터기에서 토끼를 기다리다 (0) | 2020.09.21 |
읍참마속 – 눈물을 흘리며 마속을 베다 (0) | 2020.09.21 |
맹모삼천 – 맹자의 어머니가 세 번 이사하다 (0) | 2020.09.20 |